
퇴직연금은 노후생활을 안정적으로 누리시기 위해 꼭 필요한 수단입니다. 그런데 퇴직연금을 지급정지의 사유가 발생해 받으시지 못하거나 일부만 받으실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학연금 지급 시 발생할 수 있는 지급정지 사유와 지급정지금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바로 연금정지예상액을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에서 바로 조회해 보실 수 있습니다. 연금정지예상액 모의계산 1. 연금지급정지 1. 전액지급정지 1) 교직원, 공무원, 군인으로 재임용이 되신 경우 2) 선거에 의한 선출직 공무원에 취임하신 경우 >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국외의원 및 지방의회의원, 교육감.. ※ 다만 선출직 공무원 중 지방의회의원은 근로소득금액이 본인의 연금액 미만인 경우 그 근로소득 금액이 전년도 ..

퇴직연금 수급자격이 있는 재직 중인 교직원 또는 퇴직연금 수급 중이신 분이 사망하셨을 경우 남아있는 유족은 유족연금을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학연금 유족연금의 비율과 사유별 수령액 그리고 유족연금을 청구하실 때 필요한 서류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유족연금 1. 유족연금이란? 퇴직연금의 수급자격이 있는 직원이 재직 중 사망하시거나 퇴직연금등의 연금수급권자가 사망하셨을 경우 유족이 연금을 지급받으실 수 있으며 만약 유족연금을 받으실 권리가 있는 분이 수급권을 상실하신 경우 동순위 또는 차순위 유족에게 수급권이 이전됩니다. 유족이 받을 수 있는 퇴직연금의 비율 : 연금의 60%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유족연금의 사유별 수령액 유족연금 수령 사유 지급요건 수령액 (산식) 재직중..

사학연금은 사립학교 교직원을 위한 공적연금제도로서 사립학교 교직원의 퇴직등의 경우에 받을 실 수 있은 연금입니다. 오늘은 퇴직 시에 받으실 수 있는 사학연금 퇴직연금 수령나이와 수령액 (퇴직연금 예상액조회)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인의 퇴직연금 예상액이 궁금하신 분들은 사학연금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스크롤을 내리시면 아래의 화면이 보입니다. 화면에서 재직교직원을 클릭 → 퇴직급여 예상액조회를 클릭 → 그리고 개인인증을 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학연금 홈페이지 바로가기 1. 퇴직연금 1. 퇴직연금 지급연령 1) 교직원이 10년 이상 재직하시고 퇴직 시 2009년 12월 31일 이전 임용된 교직원은 60세에 도달한 때이며 2010년 1월 1일 이후 임용된 교직원은 65세가 도달했을 때 지급합니..

중소기업에 근무하시는 분들은 받으시는 근로소득에 대해서 소득세 감면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상자는 회사에 소득감면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되는데요. 오늘은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대상자와 감면기간, 감면율 등의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세감면의 신청절차는 중소기업 근로자가 감면 신청서를 회사에 제출하고 회사는 판단 후 관할세무서에 감면명세서를 제출하는 순서로 진행되며 퇴직근로자는 직접 신청이 가능합니다. 1.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1. 감면대상자 1) 청년 근로계약 체결일 현재 15세 ~ 34세 이하이신 분 연령 계산 시에는 군복무기간 (최대 6년)은 제외하고 계산합니다. 📌 감면대상 청년 근로자 연령계산 만약 군복무 기간이 2년인 경우 만 35세에 근로계약 체결하시면 2년을 빼고 계산한 연령 ..

연말정산 시기가 돌아왔습니다. 3월 10일까지 꼼꼼히 세액공제 내용을 신고하셔서 많이 내신 세금을 돌려받으시기 바랍니다. 세액공제 내용이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오늘은 혹시나 놓치실 수 있는 월세액 세액공제의 대상자와 서류 그리고 혜택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월세액 세액공제 신청은 회사에 서류를 제출하시는 방법도 있지만 국세청 홈택스에서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을 해두시면 매달 현금영수증으로 발급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고를 하지 않으셔도 되어서 편리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국세청홈텍스 로그인 > 상담·불복·고충·제보기타 > 주택임차료(월세)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 > 주택임차료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에서 신청하기 클릭하셔서 신청서 작성하시고 하단에 있는 구비서류를 첨부하시면 됩니다. 1. 연말정산..

매년 변경되는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과 복지급여등의 정부지원혜택의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모든 가구들에게 소득의 순으로 순위를 정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2024년 저소득층 기준 중위소득과 지원혜택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서 간단하게 소득재산항목을 입력하시면 소득인정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지 자가진단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 모의계산 1. 저소득층의 기준 1. 기초생활수급자 1) 급여지원제도 중위소득 기준 1인 2인 3인 4인 5인 교육급여 (50%) 1,114,223 1,841,305 2,357,329 2,864,957 3,347,868 주거급여 (48%) 1,069,654 1,767,652 2,263,035 2,750,358 3,213,953 ..